1월 구입한 책+받은 책

가장 관심이 가는 책은 단연 김인수·이영진 선생님의 <사회조사와 한국적인 것의 탄생>. 읽어봐야 알겠지만, 주제나 관점 자체는 왜 이제야 나왔는가 싶은 책이다. 얼마전 김대현 박사 학위논문 토론 준비하면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여겨져 사카가미 다카시의 <인구·여론·가족>과 통계청의 <한국통계발전사: 위대한 숫자의 역사> 구입. 통계청 책은 부실해보이긴 하는데, 한국 통계사에 관한 본격 연구서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예전에 원서로 읽은 리사 요네야마의 Cold War Ruins는 수업시간에 쓸 일이 있을 듯 하여, 번역본으로 다시 구입. 인류학 관련 논의 부분만 뽑아서 다시 한 번 훑어볼 생각.

일상적인 공부를 위해 산 책들 외에, 장 피에르 뒤피의 책은 얼마 전 <마음은 어떻게 기계가 되었나>를 인상깊게 읽어 나머지 책들도 구입. <경제와 미래>는 받자마자 절반 정도 읽었는데, 최근 내 연구 주제와 매우 밀접히 관련된 내용이라 놀라웠다. 이전에 이 책의 영어 번역본을 추천받은 적이 있는데, 그 때 미뤄둔 것이 조금 후회될 정도… 아마 돌아오는 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0131 새로운 맑스 독해 강연

서울대 인류학과 대학원생들이 <맑스의 ‘자본’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미하엘 하인리히 저, 에디투스, 2021)의 역자 김원태 선생님(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을 모시고 하인리히로 대표되는 “새로운 맑스-독해” 흐름에 대한 강연회를 엽니다. 저도 비공식 토론자로 참여합니다.

관심있으신 분은 다음의 링크로 사전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행사 참가 신청 링크: https://forms.gle/9ChmunbREa1XmGi89

 

 

“성 규범의 지식제도와 반사회성 형성, 1948~1972” 토론문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에서 주최한 김대현 박사의 학위논문, “성 규범의 지식·제도와 반사회성 형성, 1948~1972” (연세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23) 발표회에 토론문으로 제출한 글. 호명에 걸맞는 자격을 갖추었는지는 모르겠으나, ‘푸코 연구자’로서 논문을 평해줄 것을 요청받았기에 이에 집중하여 작성하였다.

====================================

토론문

‘규범화(normation)’를 넘어 ‘정상화(normalization)’에 대한 연구로

 

김대현의 박사학위논문 <성 규범의 지식·제도와 반사회성 형성, 1948~1972>는 해당 시기 한국사회의 ‘성 규범’과 ‘반사회성’이라는 범주를 형성시킨 힘과 실천의 선분들(lines)을 추적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이 선분들은 논문에서 등장하는 몇몇 학자들의 말 한마디, 칼럼 하나, 논문 한편에서부터, 가정법원, 육군병원 등의 국가장치들, 범죄심리학, 우생학 혹은 정신분석학과 같은 제도화된 분과학문들, 그리고 그 배후에 놓인 냉전적 질서와 국제기구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저자는 이 이질적 선분들이 교차하면서 어떻게 당대의 이성애·가족중심적 성규범과 이에 잠재적 위협이 되는 집단을 통칭하는 ‘반사회성’이라는 모호한 범주―저자가 잘 지적하고 있듯이 그 텅 빈 모호함으로 인해 누구든지 채워질 수 있다는 점이 핵심인―를 형성·강화하는데 기여했는지 솜씨있게 서술하고 있다. 어느 정도 저자가 의도한 바 같으나, 토론자는 저자가 직접 인용하는 각종 ‘빻은’ 말들에 때로는 큰 웃음을, 때로는 쓴 웃음을 지으면서 흥미진진하게 읽어 나갈 수 있었다. 다양하고 방대한 자료를 꼼꼼하게 검토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현재의 운동적 쟁점과 역사연구를 대각으로 이어붙이려는 활동가이자 연구자로서 저자의 진정성과 야심이 느껴지는 연구였다. 아마도 학위논문이라는 틀에 담기에는 너무 ‘위험한’ 그 야심 때문이겠으나, 논문의 구성이나 자료활용 면에서 ‘정상적인’ 논문의 형태에서 이탈한 부분들도 눈에 띄지만, 발제문에서 추측할 수 있듯이 이러한 부분들은 논문 심사과정에서 충분히 저자를 괴롭혔을 것이기에, 굳이 이 자리에서 다시 언급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사실 토론자는 섹슈얼리티 연구자도 현대사 연구자도 아니어서, 이 논문이 해당 담론장에서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를 평가할 능력은 없다. 다만 섭외과정에서 (그 호칭에 맞는 전문성을 갖췄는지 여부와는 별개로) ‘푸코 연구자’로 토론에 임해줄 것을 요청받았기에, 미흡하지만 그 부분에 한정해 토론을 제기해보고자 한다.

 

Continue reading…

0114 이룸 연구자 네트워크 토론

24년 1월 14일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연구자 네트워크에서 개최하는 김대현 선생님의 박사 논문(“성 규범의 지식제도와 반사회성 형성, 1948~1972”, 연세대학교 사학과, 2023) 토론회에 토론자로 참여합니다.

관심있는 분은 다음의 링크에서 사전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사전신청 링크 https://forms.gle/JTj4huFLmGTKycdL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