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31일 전북대학교 여성연구소에서 “폭력과 노동 사이에서: ‘여성교환’으로 보는 성매매”라는 주제로 발표합니다.
12월 7일 합정 필로버스에서 열리는 제12회 맑스 코뮤날레에서 발표합니다. 발표 제목은 “새로운 체제, 동일한 모순?: 기술봉건론과 그 함의”로, 얼마전 <문학동네>에 발표했던 기술봉건론에 대한 글을 조금 더 풀어서 논해보려고 합니다. “맑스 코뮤날레”라는 뜻깊은 행사에도 제가 속해 있는 <금융노동연구회F>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https://www.marxcommunale2024.info/2024-MARX-COMMUNALE-13869a49b431800a8e27ff03808acc0e
12월 6일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에서 개최하는 <2024 한국기본소득포럼>에서 “한국 공유부 기본소득론의 역사적 궤적”이란 제목으로 발표 합니다. 발표 자체는 공동 연구자인 위스콘신대 사회학과 조민서샘이 맡아서, 현재 저와 함께 실행하고 있는 연구의 문제의식과 내용을 간략히 소개할 예정입니다. 유투브로도 중계되는 모양이니 해당 주제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링크를 방문해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https://basicincomekorea.org/korea-ubi-forum-2024/
12월 5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에서 주최하는 <경계를 넘는 공동체> 콜로키엄에 토론자로 참석합니다. 현재 독일 막스플랑크 사회인류학 연구소장으로 재직 중인 중국출신 인류학자 샹바오를 초청하여 그의 저작 <경계를 넘는 공동체: 베이징 저장촌 생활사>(박우 역, 글항아리, 2024)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입니다. 줌으로 진행되는 행사로, 사전 등록 링크도 함께 남겨놓습니다.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f6kyZlyCSFNJrfxgtgx1SirexMZgP33191qqW8Z4eCKorzwQ/viewform
11월 8일 서울대학교 ‘기업과 사회’ 연구회에서 “[공적] 가치의 측정, 측정의 [공적]가치”를 주제로 포럼을 엽니다. 저도 이 연구회 회원인데, 이번에는 발표가 아닌 토론만을 맡았습니다. 발표하시는 선생님들의 면면에서 보듯이, 매우 흥미롭고 심도 깊은 행사가 될 것 같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의 참여 바랍니다.
11월 1일 서울대학교 민속학센터 창립을 기념하는 학술대회에 오창현 선생님의 발표 “21세기 한국 민속지의 이론적 과제: 공동체의 중심과 주변을 향한 시선”에 토론자로 참여합니다. 민속학 연구에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 매우 흥미로운 글입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8월 23일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 열리는 제1회 현대한국연구 국제컨퍼런스(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Contemporary Studies)의 K-Future 세션에 Nathalie Luca 선생님과 김홍중 선생님 발표 토론자로 참여합니다. 흥미로운 주제들이 많으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